본문 바로가기

문장수집 아카이빙

60. (독서메모) 더 빠르게 실패하기

728x90


안녕하세요! 작가 행쿠입니다.

오늘 60번째 독세메모 책은 “ 더 빠르게 실패하기”입니다.

스탠포드대학교 연구진의 20년 연구 프로젝트 일명 “인생성장 프로젝트”의 결론은
바로 책 제목인 “더 빠르게 실패하기”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 책의 일부내용과 저의 생각을 같이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만약 삶을 변화 시키고 싶다면 지금 당장 즐거움을 만끽할 작은 행동을 시작하라. 당신의 삶이 불안정하고 애매하다고 느끼는가? 그렇다면 ‘즐기는 데 시간을 더 투자하라’
즐거움을 얻는 테니스, 산악자전거라는 개인의 즐거움을 누리는 행위가 예기치 않게 찾아오는 우연을 끌어당긴다.


즐거운 행위에 초점을 맞추면 삶이 변화된다는 말은 선뜻 믿긴 어렵습니다. 다만, 즐거운행동은 삶을 보다 긍정적으로 바라보게하는 데는 동의합니다.
삶을 긍정하게 될때 상황을 보다 창의적으로 바라보게 되고 또 뭔가를 해보고자하는 의지도 충만해지는 데 이런 밑바탕이 연구진에서 말하는 예기치 못한 우연을 잘 발견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저는 달리기를 좋아합니다. 어느정도 숨이 고르기전까지는 고통스럽지만, 그 이후에는 세상과 나 둘만 남겨진 것만 같은 느낌이 저를 미소짓게 합니다. 끝나고나서는 이루 말할 수 없는 보람도 뺄 수 없구요. 이 달리기가 저에게 어떤 예기치 않은 우연을 끌어당길지… 추후에 한번 본 글에 공유토록 하겠습니다.
  

2.

가능한 빨리 형편없이, 그리고 자주 실패하라
좋은 공연을 하는 유일한 길은 나쁜 공연을 많이 해보는 것 뿐이다. 공연을 많이 하면서 힘든 시간을 보내세요. 그러고도 포기하지 않으면 차차 나아집니다.
영어를 유창하게 하려면, 먼저 형편없는 영어를 많이 해야 한다.

도전을 내가 얼마나 똑똑하고 유능한지를 증명하려는 것에 있다면 그 실적은 저조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초보자의 마음가짐) 도전을 배움과 성장의 기회로 삼는다면 그 자체를 즐기고 경험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우려고 든다.


완벽하려고하면 절대 완벽해질 수 없다.
운좋게 회사의 지원을 받아 영어회화 공부를 매일 30분씩 하고 있는데, 아직도 제 영어는 형편없지만 처음 레벨테스트를 했던 저와는 달리 어설픈 영어라도 계속 뱉고 듣고 하는 빈도와 사고는 많이 늘었다는 생각을 하는 요즘입니다.

논란이 많이 있지만, 어느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1만시간이 필요하다라는 소위 1만시간의 법칙을 잘 아실 겁니다. 이 1만시간은 얼마나 내가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느냐가 아닌 얼마나 내가 많이 시도하고 깨지고 넘어지는 것들이 총합임을 다시금 깨닫게 합니다.

3.

새로운 일을 시도한다고 목숨이 위태로울 일은 거의 없다. 다양하고 폭넓은 삶을 살기를 원한다면 하지말라 는 경고의 메시지를 받고도 행동을 취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저항을 깨드리기위해 하루 한장, 하루 한개, 하루 한번으로 작게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장 오늘 자신에게 의미 있고 중요한 일을 시작하라.
- 살을 빼야지 -> 점심은 가볍게 먹어야겠어
- 대출 이자를 갚아야해 -> 오늘 1달러를 아껴야지


내일 당장 풀 마라톤을 뛰어야 한다고 생각하면 고통에 몸부리치지만, 내일 동네 주변을 1km만 가볍게 뛰어보자라고 생각하면 손쉬운 일이 되고 맘이 즐겁습니다.
사람은 참 신기한게 한번 궤도에 오르면 점점 더 향상되고 싶어하는 향상심이 존재합니다. 이 향상심이 발현되는 궤도에 오르기에는 처음부터 무리하게 목표를 잡지말고 오늘 하루 내가 작게 행동할 수 있는 그무언가를 시도하는 것. 이 것이 나와 내 삶을 바꾸는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일입니다.

4.

불필요하게 깊은 사고와 분석과정이 우리의 행동을 방해한다. 정보를 수집하고 의사결정에 많은 시간을 투자했을때 보다 쉽게 포기하는 경향을 보인다.
새로운 일을 시도할때는 ’입사 지원서를 내볼만큼 충분히 관심이 가는가?‘ 정도만 물어보면 된다. 한시간정도만 투자하면 되는 문제다. 이 직업에 평생 종사해야 하나? 경제적인 안정과 행복에는 무리가 없을까?를 미리 결정할 필요가 없다.
결정을 감당해볼만한 작은크기로 줄이는 방법은 ’나는 이 일을 더 알아보고 싶어 하는가?’ 라고 질문해보는 것이다. 미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문제에서도 마찬가지다.

기회가 찾아온다면 예라고 답하라
긍정적인 이유에 부정적인 것보다 3배 더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자.
기회를 통해 새로운 경험과 배움, 새로운관점,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일을 한 자신을 칭찬하라.

고려할 선택 사항이 너무 많아서 혼란스러운 상황의 대처하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다이빙대에 올려야한다.
여행을 준비할때 항공권을 사면 나머지 일정계획은 저절로 따라온다.


결혼을 하는 일, 이직을 하는 일, 이사를 가는 일 등 나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일들에 대해 숙고하는 것은 당연히 중요하고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다만, 이런 숙고가 오래되면 그 때 주어진 기회는 모래시계의 아랫부분을 향해 쏜살 같이 달려가는 모래알처럼 결국 사라지고 말 것입니다.

우리 인생은 레고처럼 딱딱 들어맞아 가는 계획적인 그 무언가가 아닌 불연속적이고 불규칙한 운동을 하는 매개체와 같습니다.
내가 현재에 머물러있기보다 더 나은 삶, 더 나은 미래를 맞닿드리고 싶다면 우리에게 찾아오는 기회는 한번 생각은 가볍게, 엉덩이도 가볍게 움직여볼 필요가 있습니다.


5.

사람들이 인생을 바꾸는 기회를 놓치는 가장 큰 첫 번째 이유는 그들이 기회를 찾지 않기 때문이다.
두번째 이유는 기회를 보지만 그것에 따라 행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흥미를 잡아끄는 것이 있을때, 기대하지 못한 흥분에 휩싸일때 관심도 없던 일에 갑자기 끌리게 될때 자신을 믿으라. 호기심은 행동을 이끌어내고 안내자 역할도 자처한다.


매일의 루틴한 삶을 살아가는 우리는 어지간한 흥미거리에는 반응을 하지 않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흥미를 잡아끄는 것이 있다면, 우리의 호기심을 발동 시키는 그 무언가는 우리에게 찾아온 기적일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저는 호기심에 따라 오늘 피클볼을 쳐보러 갑니다!

6.

우리는 문제에 앞서 늘 어떻게 라는 질문을 던지다. 하지만 어떻게 라는 질문은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이나 가정을 전제로 한 질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는데 분명한 도움이 아닐 때가 많다. 이미 알고 있는 사실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에 관한 바람직한 첫 질문은 무엇을 에 관해 묻는것이다. 무엇을 에 대한 질문은 현 상황의 제약에서 벗아나 다른 가능성을 탐험하도록 돕는다.

~ 뭘 할 수 있을까
~ 뭘 다르게 해볼 수 있을까


무언가 더 효율적으로 일을 처리하고 싶다면, ‘어떻게’가 더 빠른 길을 안내해줄지 모르지만
막다른 길에 봉착했을때 우리는 더 빠른 길이 아닌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하듯이,

새로운 문제 해결 방안을 찾을 때는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하는 사고의 연습을 해봐야겠습니다.




한줄평 : 잘할 필요는 없다. 그저 빠르게 실패하려고 하면 결국 잘하게 된다.


지금까지 행쿠였습니다.
진심을 다해,

728x90